-
사업소안내
-
수질연구소
-
수질검사안내
-
수질검사항목
원 · 정수 정밀분석 및 검사
- 원수 : 139개 항목(기준 41개, 환경부 감시 4개, 자체확대 94개)
- 정수 : 238개 항목(기준 60개, 환경부 감시 30개, 자체확대 148개)
수질검사 및 수질공표제
- 대 상 : 상수원, 정수장, 수도꼭지 등
- 공표항목 : 상수원 : 25개, 정수 : 60개, 수도꼭지 : 11개(노후급수관 10개, 급수과정별 11개, 가정수도꼭지 7개)
- 공 표 일 : 매월 말 인터넷 홈페이지(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시보 등에 공표
마을 · 전용상수도 및 소규모 급수시설 수질검사
- 근 거 : 상수원관리규칙 제24조, 제25조, 먹는물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규칙 제4조
- 검사항목
- 먹는물 수질검사 : 암모니아성질소 등 14개 항목(분기 1회), 60개 전항목(년 1회)
- 원 수 수질검사 : 수은 등 11개항목, 2년 1회
수도꼭지 수질검사
- 가정수도꼭지 수질검사
- 근 거 : 먹는물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 검사대상 : 인구 30,000명당 1개소 + 66개 (저수조 20%포함) 130개소/월
- 검사항목 : 대장균군 등 7개항목
- 정수장 계통별 수도관 노후지역 수질검사
- 근 거 :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등에 관한 규칙
- 검사대상 : 정수장계통별 노후지역 수도꼭지 2개소
- 검사항목 : 철 등 10개항목
- 광주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홈페이지 등에 공표
- 수돗물 급수과정별 시설에서의 수질검사
- 근거 : 먹는물수질기준 및 검사등에 관한 규칙
- 검사대상 : 급수구역별로 배수지, 전후 급수지역 유입부, 급수지역내 가압장유출부, 급수지역관말 수도꼭지 25개소/분기
- 검사항목 : 대장균군 등 11개항목
- 부적합지점 조치사항
- 결과 해석 및 정수사업소와 해당 지역사업소에 조치토록 통보
- 정수사업소 : 소독상태 미흡시 소독제 주입농도 조절 등 조치 후 결과 통보
- 지역사업소 : 관 청소 등 조치 후 결과 통보 (이물질, 탁수 출수시)
환경부 수질측정망 운영
- 근 거 : 환경부 고시 제2022-287호(2023.1.2.)
- 조사지점 : 호소 2개소
- 조사항목 : COD 등 40개항목
- 보고체계 : 매월 환경부 보고
수질 중점관리 기간 설정 운영
- 갈수기 : 1~4월, 12월 - 강우량 감소로 인한 수질저하 감시
- 수환경변화기 : 4~6월 (갈수기 이후 초기강우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감시)
- 하절기 : 6월∼9월 (집중강우에 따른 수질오염사고 예방)
- 조류 대량번식기 : 규조류(12~5월), 녹조류 및 남조류(6~9월)
- 조류 번식에 따른 장해요인 예방 및 감시 기간 설정으로 조류중점감시
정수약품 품질시험
- 검사대상 : 응집제, 활성탄, 황산동, 소석회, 차아염소산 칼슘, 수산화나트륨 등
- 검사시기 : 각 정수장별 의뢰시 시험
- 검사항목 : 수처리제 기준과 규격(환경부고시)에 의거 정수약품별 항목 구분
자료관리 담당자 |
배급수연구과
|
이현주
|
062-609-64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