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광주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로고

맑고 깨끗한 광주의 수돗물!

2020년대 HISTORY

2021.07
본부 경영기획과 → 총괄기획과
            요금과 → 요금정책과
            재무과 → 최계, 과재계를 재무, 계약계로 명칭변경
기술부 물운용총괄과 신설
수질연구소 관리담당관 폐지 후 원정수관리과, 배급수연구과 신설
동부사업소, 북부사업소 → 동북수도사업소로 통합
서부사업소, 남부사업소, 광산사업소 → 서남광산수도사업소로 통합

2010년대 HISTORY

2016.07
본부 업무부 → 경영부
본부 업무과 → 경영기획과로 명칭변경
2015.03
본부 회계과 → 재무과로 명칭변경
2014.09
시설관리소(관리담당관) 신설
2012.07
용연정수사업소(관리담당관), 수질연구소(수질담당관)신설
2010.08
본부 빛여울수 음용팀 신설
본부 요금관리·요금지원팀 통합 → 요금팀

2000년대 HISTORY

2008.07
본부 기획팀·예산팀 통합 → 기획예산팀
2007.07
덕남정수사업소 홍보팀 폐지(5팀 → 4팀)
2007.01
정수사업소 직제 분리(2부, 5과, 9사업소)
- 정수사업소 → 용연정수사업소, 덕남정수사업소
북부사업소 요금1, 2팀 통합 → 요금팀
2003.03
사업소 직제 분리(2부,5과,8사업소)
- 서남부사업소 → 서부사업소,남부사업소

1990년대 HISTORY

1999.08
용연·덕남정수사업소 직제 통합, 수질연구소 직제 신설 (2부, 5과, 7사업소)
- 용연·덕남정수사업소 → 정수사업소
- 기술부 수질연구실 → 수질연구소
1998.09
북광주정수사업소, 수질연구소 직제폐지, 본부 수질연구실 직제 신설
(2부, 6과, 1실, 7사업소)
- 각화정수장, 제4수원지 → 용연정수사업소 관리
- 남면정수장, 황룡취수장, 송정취·정수장 → 덕남정수사업소 관리
사업소 「계」제 폐지
1997.07
수질검사소를 수질연구소로 명칭변경
1996.09
시설급수부를 기술부로, 업무기획과를 업무부로, 예산과를 요금과로 명칭 변경
시설관리소 시설계를 보수계로, 양수계를 자재계로 통합
서남부사업소 공무계를 공무1, 2계로 분리
북광주정수사업소 관리계를 서무계로, 시험계를 정수계로 명칭변경
수질검사소에 연구분석계 신설
1996.02
본부 담당관 직제 폐지, 시설부와 급수부 → 시설급수부로 통합 개정(2부, 6과, 9사업소)
- 업무부 6계를 폐지하고 업무기획과, 예산과, 회계과 신설
- 시설부 2계와 급수부 3계를 폐지하고 시설급수부에 시설과, 급수과, 수원과 신설

사업소명칭변경 : 서부사업소 → 서남부사업소
시설관리소 기술담당관과 수질검사소 연구분석과 직제폐지
1994.10
서부·북부사업소 요금계 → 요금 1,2계로 분리
1994.07
관리·기술국장 → 기술담당관으로 통합
1994.05
관리부 폐지 → 업무부로 통합
1994.03
덕남정수사업소 직제 신설 : 4계 (서무계, 정수계, 기전계, 공무계)
1993.10
시설관리소 공무1·2계를 시설·보수계로 명칭변경
1991.12
시설관리소 공무2계 신설 : 1담당관, 6계
1991.10
사업소 명칭 변경 : 황룡정수사업소 → 북광주정수사업소
1991.05
수질검사소 직제 신설 : 1과, 1계(연구분석과, 관리계)
시설관리소 직제 신설 : 1담당관, 5계(관리, 자재, 양수, 공무, 누수방지)
1991.04
본부의 관리·기술담당관 → 관리·기술국으로, 4과(총무, 관리, 시설, 급수) → 4부로 직제 변경
1990.02
상수도사업본부로 직제개편
- 본부 : 본부장, 2담당관(관리, 기술), 4과(총무, 관리, 시설, 급수)
  • · 총무과 : 3계(총무, 인사, 기획예산)
  • · 관리과 : 3계(관재, 요금, 회계)
  • · 시설과 : 2계(시설, 공무)
  • · 급수과 : 3계(급수, 수원, 누수방지)
- 정수사업소(용연, 황룡)
  • · 용 연 : 4계(서무, 정수, 기전, 공무)
  • · 황 룡 : 3계(관리, 공무, 기전)
- 지역사업소(동부, 서부, 북부, 광산) : 3계(관리, 요금, 공무)

1980년대 HISTORY

1989.01
송정취수장, 송정정수장 → 북부사업소에 편입
1988.05
구청직제 변경으로 수도과 → 상·하수과로 변경, 하수계 신설
1988.01
광산구 수도과 신설 : 1과 3계(업무, 급수, 공무)
1987.06
본청 업무과에 요금계 신설, 하수과 하수행정계 폐지
1987.05
사업소 명칭 변경
- 동복사무소 → 동부사업소
- 남면사무소 → 북부사업소
1987.04
수도국 → 상·하수국으로 명칭변경
하수과 신설 : 3계(하수행정계, 하수 1·2계)
1986.11
직할시 승격으로 직제개편 : 3과(업무, 시설, 급수)
- 업무과 : 3계(업무, 회계, 관재)
- 시설과 : 2계(시설, 공무)
- 급수과 : 3계(급수, 수원, 누수방지계)
1986.08
본청 급수과에 누수방지계 신설
1985.07
동복사무소 기구증설 : 4계(서무, 정수, 기전, 토목)
1983.11
남면사무소 신설 : 3계(서무, 기전, 공무)
1981.04
북구 수도과 신설 : 1과 3계(업무, 급수, 공무)

1970년대 HISTORY

1976.06
동·서구 수도사업소 폐지
- 동·서구 수도과 신설 : 1과 3계(업무, 급수, 공무)
1975.02
수도계량기수리 직영공장 설치
1974.11
동·서구 수도사업소 신설 : 3계(관리, 수납, 공무)
본청 업무과 요금계와 급수과 단속계 폐지
업무과 자재계 신설
1971.01
동복사무소 신설 : 2계(서무, 공무)
1970.12
수도국 공무과 → 급수과로 명칭변경 및 업무과 기업회계계, 급수과, 단속계 신설
1970.04
지방공기업법 시행과 함께 일반회계에서 수도특별회계분리

1960년대 HISTORY

1969.09
수도국 신설 : 1국, 2과(업무, 공무), 5계(업무, 요금, 시설, 배수, 급수)
1963.02
수도과 승격 : 1과 2계(업무, 공무)

1950년대 HISTORY

1954.08
건설과 수도계 : 1계
   자료관리 담당자 총괄기획과
이자웅
062-609-6112